안단테 안단테
github 사용법 본문
2. github 사용법
깃허브(GitHub, /'ɡɪtˌhʌb/[1])는 깃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 기반의 호스팅 서비스이다. 루비 온 레일스로 작성되었다. GitHub는 영리적인 서비스와 오픈소스를 위한 무상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. 2009년의 Git 사용자 조사에 따르면 GitHub는 가장 인기있는 Git 호스팅 사이트이다.[2] 또한 2011년의 조사에서는 가장 인기있는 오픈 소스 코드 저장소로 꼽혔다.[3]
깃허브는 pastebin과 유사한 서비스와 위키를 각 저장소마다 운영하고 있으며 깃 저장소를 통해 고칠 수 있다.
2010년 1월부터 깃허브는 GitHub, Inc. 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.
이제 github사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??
1. 먼저 http://github.com에 들어가서 아이디를 만들어줍니다.
2. 작업이 저장될 저장소를 만들어 줍니다.
3. 자신이 사용할 저장소의 이름과 어떤용도로 사용되는지 적고 create repository를 눌러줍니다.
4. 생성이 되면 HTTP주소와 사용법이 나와있는데 저 아래대로 똑같이 하면 됩니다.
이제부터 github연결을 제대로 해볼까요??
5. 먼저 저 위에 URL을 복사합니다
$git remote add origin [URL주소] 을 입력하면 연결이 됩니다.
6. git에 있는 커밋 로그들을 github로 옮기는 작업을 하려면
$git push -u origin master 라고 입력을 합니다.
그러면 github 이메일주소와 비밀번호를 요구합니다.
자신이 가입한 이메일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인증이 되고
완료 되면 아래와 깉이 메시지가 뜨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7. 아까 만들었던 github 사이트에가서 새로고침을 누르면 우리가 이전에 만든 test.java가 올라가 있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8. 그럼 이제 github에서 만든 파일을 가져오는걸 해보겠습니다.
자신의 저장소 이름 옆에 + 버튼을 눌러줍니다.
9. 그러면 어떠한 파일이름으로 어떠한 내용을 쓸지 적는란이 있고 최종적으로 아래에 Commit new file 버튼을 살포시 눌러 줍니다.
10. 그러면 test1 파일이 만들어진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오른쪽 하단에 URL이 있는데 이것을 저장해 줍니다.
11. $git init 으로 저장소를 만들었으면
$cd .git/ 으로 들어가서
$ git clone [방금 복사한 Clone URL]
을 적어줍니다.
그러면 github 저장소에 있는 모든 파일과 커밋 로그들을 가져 올 수 있습니다.
12. $vi test1 로 확인을 해보면 아까 입력한 내용이 들어가 있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지금까지 2. github 사용법 에 관한 포스팅이였습니다.
감사합니다.
'IT 기술 > 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원격 저장소 이용 (0) | 2023.02.07 |
---|---|
git 사용할 때 에러 (0) | 2023.02.07 |
Git 설치 및 사용법 (0) | 2023.02.06 |
Open JDK 적용 방법 (0) | 2023.02.06 |
네트워크 드라이버 연결 (0) | 2023.02.06 |